현재까지는 이스라엘이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란의 이슬람 정권이 언젠가 무너진다 해도, 자유주의적 친서방 정부가 들어서리란 보장은 없다.
John Sawers
June 16, 2025
미국이 중동에서 점점 발을 빼는 가운데, 중동 국가들은 자기들 스스로 안보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은 그 가장 최근 사례다.
이번 공격은 이스라엘이 자신들의 힘을 과감하게 보여준 사례였다. 정보의 정밀도는 놀라웠다. 이스라엘은 이란 사령관들의 주거지를 정확히 특정해 살해했다. 일부는 이란 내부에서 출격한 드론을 사용했다. 이는 최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안에서 수행한 드론 작전을 연상케 한다.
이스라엘이 이 공격으로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얼마나 후퇴시켰는지는 당분간 명확하지 않을 것이다. 한 차례 공격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란이 핵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경우, 이스라엘은 다시 정기적으로 공격을 감행해 ‘잔디를 깎는’ 식의 억제 작전을 계속해야 할 수 있다. 이번 공세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 만약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인프라까지 파괴하려 한다면, 걸프 지역에서 이란의 보복 가능성도 커질 것이다. 그럼에도 어쨌든 현재까지는 이스라엘이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란 지도자들은 현재의 궁지에 처한 데 대해 스스로를 탓할 수밖에 없다. 그들은 오직 군사적 목적으로 핵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또 적국 이스라엘에 해를 끼치기 위해 민병대를 무장시키고 자금을 댔다. 하지만 이 무장세력을 통제하지 못한 결과,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공격이 발생했다. 이 일은 결국 이란의 이해관계에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다.
이 모든 일은 이란의 발전을 막았다. 이란 국민들은 자부심이 강하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기업가 정신이 풍부하다. 그래서 이들은 자신들이 주변 아랍 국가들보다 얼마나 뒤처졌는지에 대해 좌절하고 있다. 이란 국민들에게 이슬람 혁명은 참담한 실패였다.
이제 정세는 어디로 향할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란 정권이 무너지기를 바란다. 현 이란 정권은 확실히 약하고 국민들에게 인기도 없다. 따라서 정권 붕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외부의 공격을 받을 경우, 국민들은 종종 국기를 중심으로 뭉친다. 그 결과 야권 세력은 정권의 약점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다. 현 이란 정권에 진짜 위협이 되는 건 내부 반발이다. 바로 거리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이란 국민들에게 봉기를 촉구해도, 그들이 폭격을 당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그 말이 호소력을 갖기 어렵다.
이란의 권위주의적 우방인 러시아와 중국은 이란 현 정권이 흔들리기 시작하더라도 이를 지지할 가능성이 낮다. 러시아는 2015년 시리아에서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무너지는 것을 지연시키며 개입했다. 그러나 지금 모스크바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몰두하고 있다. 설령 원한다 해도 개입할 여력은 부족할 것이다. 또 중국은 말 그대로 ‘형편 좋을 때만 친구’인 국가다. 이란산 석유를 사들이고 투자를 약속하지만, 감시 기술 제공 외에 안보 측면의 책임을 지려는 관심은 없다. 게다가 중국은 중동처럼 먼 지역에 직접 개입할 의지도 없다.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왼쪽)
이란의 이슬람 정권이 언젠가 무너진다 해도, 자유주의적 친서방 정부가 등장하리라 기대해서는 안 된다. 국내에 잘 무장된 반대 세력이 없기 때문에, 권력 투쟁에서 이길 가능성이 가장 큰 쪽은 군부의 일부 세력일 것이다. 이들은 과거 실패의 교훈을 얻어 외국에겐 덜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란 내에서는 그나마 존재하는 제한적 자유들마저 없앨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나라의 분열이다. 리비아, 시리아, 예멘, 소말리아에서 일어났던 것처럼 말이다. 이란에서 그러한 분열이 일어날 경우,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이다. 쿠르드족, 아랍인, 발루치족, 심지어 통합이 잘 되어 있던 아제르족조차 민족주의로 회귀할 수 있다. 이란은 페르시아인이 겨우 인구 과반을 넘는 나라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가 얻은 교훈은 이렇다. 억압적 정권이 무너진다고 해서 반드시 더 나은 결과가 따르지는 않는다. 책임질 주체가 없는 무정부 상태에서는 테러 조직이 번성한다. 이라크는 결국 더 나은 나라로 거듭났다. 그러나 사담 후세인이 축출된 후 20년이 걸렸다. 그것도 막대한 석유 자원이 있는 나라였음에도 말이다.
이스라엘의 이번 이란 공격은 미국의 영향력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네타냐후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는 분명 좋지 않다. 트럼프는 평화 중재자이자 거래 성사자로 기억되기를 원한다. 네타냐후는 두 측면에서 모두 트럼프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의 이스라엘 지지가 얼마나 강한지는 다시 한 번 분명해졌다. 트럼프는 이란과의 협상을 위해 시간을 주자고 요청했지만, 네타냐후는 이를 무시했다. 이스라엘은 반쪽짜리 미·이란 합의를 우려했다. 그 결과로 나온 군사 대응은 트럼프가 그 딜레마에 빠지는 일을 피하도록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다른 걸프 국가들도 이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걸프의 다른 통치자들은 앞으로도 트럼프에게 구애를 계속할 것이다. 그러나 트럼프에게 전적으로 의존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단지 트럼프가 믿을 수 없는 인물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중국 견제라는 더 큰 과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중동 안보에서 발을 빼기 시작한 것은 오바마 행정부 때부터다. 이 흐름은 트럼프와 그 후계자들 아래에서도 계속될 것이다. 중동 지역 국가들은 미국의 공백을 스스로 채워나가게 될 것이다.

© The Financial Times Limited 2025. All Rights Reserved. Not to be redistributed, copied or modified in any way. Okhotsk is solely responsible for providing this translation and the Financial Times Limited does not accept any liability for the accuracy or quality of the translation. 파이낸셜타임스와 라이센스 계약 하에 발행된 기사입니다. 번역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오호츠크에게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이스라엘이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란의 이슬람 정권이 언젠가 무너진다 해도, 자유주의적 친서방 정부가 들어서리란 보장은 없다.
John Sawers
June 16, 2025
미국이 중동에서 점점 발을 빼는 가운데, 중동 국가들은 자기들 스스로 안보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은 그 가장 최근 사례다.
이번 공격은 이스라엘이 자신들의 힘을 과감하게 보여준 사례였다. 정보의 정밀도는 놀라웠다. 이스라엘은 이란 사령관들의 주거지를 정확히 특정해 살해했다. 일부는 이란 내부에서 출격한 드론을 사용했다. 이는 최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안에서 수행한 드론 작전을 연상케 한다.
이스라엘이 이 공격으로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얼마나 후퇴시켰는지는 당분간 명확하지 않을 것이다. 한 차례 공격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란이 핵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경우, 이스라엘은 다시 정기적으로 공격을 감행해 ‘잔디를 깎는’ 식의 억제 작전을 계속해야 할 수 있다. 이번 공세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 만약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인프라까지 파괴하려 한다면, 걸프 지역에서 이란의 보복 가능성도 커질 것이다. 그럼에도 어쨌든 현재까지는 이스라엘이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란 지도자들은 현재의 궁지에 처한 데 대해 스스로를 탓할 수밖에 없다. 그들은 오직 군사적 목적으로 핵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또 적국 이스라엘에 해를 끼치기 위해 민병대를 무장시키고 자금을 댔다. 하지만 이 무장세력을 통제하지 못한 결과,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공격이 발생했다. 이 일은 결국 이란의 이해관계에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다.
이 모든 일은 이란의 발전을 막았다. 이란 국민들은 자부심이 강하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기업가 정신이 풍부하다. 그래서 이들은 자신들이 주변 아랍 국가들보다 얼마나 뒤처졌는지에 대해 좌절하고 있다. 이란 국민들에게 이슬람 혁명은 참담한 실패였다.
이제 정세는 어디로 향할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란 정권이 무너지기를 바란다. 현 이란 정권은 확실히 약하고 국민들에게 인기도 없다. 따라서 정권 붕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외부의 공격을 받을 경우, 국민들은 종종 국기를 중심으로 뭉친다. 그 결과 야권 세력은 정권의 약점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한다. 현 이란 정권에 진짜 위협이 되는 건 내부 반발이다. 바로 거리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이란 국민들에게 봉기를 촉구해도, 그들이 폭격을 당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그 말이 호소력을 갖기 어렵다.
이란의 권위주의적 우방인 러시아와 중국은 이란 현 정권이 흔들리기 시작하더라도 이를 지지할 가능성이 낮다. 러시아는 2015년 시리아에서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무너지는 것을 지연시키며 개입했다. 그러나 지금 모스크바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몰두하고 있다. 설령 원한다 해도 개입할 여력은 부족할 것이다. 또 중국은 말 그대로 ‘형편 좋을 때만 친구’인 국가다. 이란산 석유를 사들이고 투자를 약속하지만, 감시 기술 제공 외에 안보 측면의 책임을 지려는 관심은 없다. 게다가 중국은 중동처럼 먼 지역에 직접 개입할 의지도 없다.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왼쪽)
이란의 이슬람 정권이 언젠가 무너진다 해도, 자유주의적 친서방 정부가 등장하리라 기대해서는 안 된다. 국내에 잘 무장된 반대 세력이 없기 때문에, 권력 투쟁에서 이길 가능성이 가장 큰 쪽은 군부의 일부 세력일 것이다. 이들은 과거 실패의 교훈을 얻어 외국에겐 덜 위협적인 존재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란 내에서는 그나마 존재하는 제한적 자유들마저 없앨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나라의 분열이다. 리비아, 시리아, 예멘, 소말리아에서 일어났던 것처럼 말이다. 이란에서 그러한 분열이 일어날 경우,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이다. 쿠르드족, 아랍인, 발루치족, 심지어 통합이 잘 되어 있던 아제르족조차 민족주의로 회귀할 수 있다. 이란은 페르시아인이 겨우 인구 과반을 넘는 나라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가 얻은 교훈은 이렇다. 억압적 정권이 무너진다고 해서 반드시 더 나은 결과가 따르지는 않는다. 책임질 주체가 없는 무정부 상태에서는 테러 조직이 번성한다. 이라크는 결국 더 나은 나라로 거듭났다. 그러나 사담 후세인이 축출된 후 20년이 걸렸다. 그것도 막대한 석유 자원이 있는 나라였음에도 말이다.
이스라엘의 이번 이란 공격은 미국의 영향력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네타냐후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는 분명 좋지 않다. 트럼프는 평화 중재자이자 거래 성사자로 기억되기를 원한다. 네타냐후는 두 측면에서 모두 트럼프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의 이스라엘 지지가 얼마나 강한지는 다시 한 번 분명해졌다. 트럼프는 이란과의 협상을 위해 시간을 주자고 요청했지만, 네타냐후는 이를 무시했다. 이스라엘은 반쪽짜리 미·이란 합의를 우려했다. 그 결과로 나온 군사 대응은 트럼프가 그 딜레마에 빠지는 일을 피하도록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다른 걸프 국가들도 이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걸프의 다른 통치자들은 앞으로도 트럼프에게 구애를 계속할 것이다. 그러나 트럼프에게 전적으로 의존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단지 트럼프가 믿을 수 없는 인물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중국 견제라는 더 큰 과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중동 안보에서 발을 빼기 시작한 것은 오바마 행정부 때부터다. 이 흐름은 트럼프와 그 후계자들 아래에서도 계속될 것이다. 중동 지역 국가들은 미국의 공백을 스스로 채워나가게 될 것이다.
© The Financial Times Limited 2025. All Rights Reserved. Not to be redistributed, copied or modified in any way. Okhotsk is solely responsible for providing this translation and the Financial Times Limited does not accept any liability for the accuracy or quality of the translation. 파이낸셜타임스와 라이센스 계약 하에 발행된 기사입니다. 번역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오호츠크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