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 탄핵 해외 보도는? 오늘 오전 11시 한국 헌법재판소는 국회가 제출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인용(認容: 인정해 용납한다)'한다고 발표. 이에 따른 외국 언론매체 몇 개 반응 - 니케이(일본): 세계 최대 경제신문인 니케이는 트럼프 관세폭탄 소식보다 더 위에, 온라인 판 탑으로 한국의 탄핵 뉴스를 실음. 후지타 테츠야 서울지국장은 분열과 갈등을 강조. 기사 첫머리부터 이렇게 양쪽 당파를 모두까기.
- "군병력을 동원한 ‘비상계엄’을 선고하고 국회제압을 꾀한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의 행위는 단죄할 만하다. 정치적인 위기에 직면한다고 해도 결코 전가의 보도를 남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 "윤 씨가 남긴 상흔은 깊지만 국정운영의 발길을 끌어당긴 거대야당의 강행책이 비상계엄의 도화선이 된 것도 사실이다. 이번 파면에 의해 '민주주의가 기능했다'고 평가할 뿐만 아니라 보수와 진보가 함께 다닐 수 없었던 미숙함이 지금의 분단의 극한을 낳은 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 파이낸셜타임스(영국): 건조한 문체로 윤 대통령이 "...removed from office"라고 제목을 뽑고, "아이 엠 쏘 쏘리..."라는 윤 대통령 발언도 넣어줌.
- 더 썬(영국): 영국 최대 부수를 찍는 타블로이드 대중지. 국제뉴스 중간 쯤에 "PREZ OUSTED"라고 넣음. (PREZ는 President의 타블로이드식 약어). "계엄령(martial law)이란 무엇인가?"라며 타블로이드 독자들을 위해 친절한 해설 박스까지 붙여줌.
- 뉴욕타임스(미국): 특이하게도, "Jubilation in South Korea..." 라면서 한국인들이 환호한다고 제목을 뽑음. 미국에서도 그렇듯 한국에서도 명확히 한쪽 편을 드는 신문.
- 월스트리트저널(미국): 차기 대통령 후보 5명의 얼굴과 약력을 재빠르게 소개함. 이재명 한동훈 홍준표 오세훈 등 5인인데, 그 중 이재명 얼굴만 크게 실음.
|
|
|
#경제 트럼프 관세 여파 1. 달러 환율 급락! 그렇다면 금리도? - 어제 새벽 트럼프가 관세 부과를 발표한 이후, 원달러 환율이 어제 약 20원 떨어지고 오늘 또 30원 떨어져서 이틀간 약 50원(약 3%)이나 떨어짐. 1470원이었던 게 1420원이 됐음. (아시아경제)
- 원화가 강해져서가 아니라 달러가 약해져서임.
- 보통 글로벌 경제 위기가 오면 환율이 폭등하기 마련이지만 이번 쇼크는 성격이 다름. 트럼프의 폭탄 관세는 일단 미국 경제부터 조지는 것이기 때문. 미국 사회의 양극화를 줄이고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 관세를 도입하는 것이니, 경제 전체적으로 이런 타격이 와도 감수한다는 입장.
- 그렇다면 금리는? 경기 전망이 나빠지면 미국 연준(중앙은행)도 금리 하락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 커져.
- (그림 출처: 트위터)
|
|
|
#경제 트럼프 관세 여파 2. '우리는 가격 높이지 않겠다' '베트남 철수해야 하나' - 관세를 높이니 미국 소비자들이 그만큼 비싼 가격에 물건을 사야한다고들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을 수도. 생산자 측에서 마진을 줄여 고통을 분담할 수도 있음.
- 현대차와 도요타는 일단 미국 내 판매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밝혀. 단기적으로는 고통을 감수할 수 있다는 것.
- 한편, 베트남에 대해 한국(25%)보다 훨씬 높은 46%의 관세가 매겨짐에 따라 베트남으로 공장을 이전했던 많은 한국 기업들이 당황하고 있다고. (한국경제). 결국 한국 기업들도 본국으로 돌아오는 '리쇼어링' 고민을 해야 할 듯.
- 한편, 가격 대비 매출원가가 낮은 화장품 업계의 경우 오히려 품질 좋은 한국산이 이득일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와. (한국경제). K뷰티 파이팅!
|
|
|
#오늘의 사진 이걸 진짜 하네... 500만 달러(70억 원) 내면 발급해준다는 골드카드 미국 영주권. 트럼프가 오늘 직접 기자들에게 공개. |
|
|
오호츠크 뉴스레터를 이 링크를 눌러 구독하세요. 이메일 주소만 넣으면 됩니다. |
|
|
OpenAI 한 번에 56조 원 투자 유치. 거품인가, 혁명인가?
- 400억 달러(56조원) 규모 투자를 받으며 회사의 가치를 3000억 달러(420조원) 정도로 평가 받음.
- 비상장 상태로 남아있는 테크 기업 중에서는 우주기업 SpaceX(3500억 달러)에 이어 바이트댄스(3000억 달러)와 동급. (CNBC)
- 400억 달러 중 300억 달러는 손정의의 소프트뱅크가 내고 나머지 100억 달러는 기타 투자자들이 냄. 손 회장이 건 조건은 "연말까지 완전 영리기업으로 전환해라.'
- 지난 1월 트럼프가 보는 앞에서 손 회장이 발표했던 5000억 달러 규모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환이기도 함. 아예 허풍은 아니었나 봄.
- 오픈AI가 운영하는 챗GPT는 현재 사용자가 무려 5억 명! 그러나 거품 논란도 있어. "이런 규모의 투자를 받은 후엔 어떻게 더 크게 조달해야 하나?" "월 매출이 얼마나 나와야 투자금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현재 연 매출이 5조 원 정도인데 최소 30조 원까지는 커져야 말이 될 듯.
|
|
|
닌텐도 스위치 2, 커진만큼 비싸졌네 - 7년 만에 나오는 신형 스위치, 외관은 구형과 비슷하고 내부는 완전히 업그레이드. (디스이즈게임)
- 애플의 '아이폰'이 생각나는 모습.
- 화면 크기 6.2 → 7.9인치로 확대, 조이스틱 탈부착→마그네틱 방식으로 편의성 향상
- TV 연결 시 4K 게임 지원. 멀티플레이어 기능 대폭 강화되었고 함께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요소들도 강화됨.
- 한국 가격 64만 원으로 책정… 일본보다 10만 원 이상 비싸. (회춘한 엔화 효과?)
- 언어 설정, 계정 설정에 락이 걸려서 일본 직구도 불가능한 상황. 해외 게이머들은 불만.
|
|
|
#광고
"나도 공부 잘 했고 괜찮은 대학 나왔으니 당연히 글도 잘 쓰는 거 아닐까?" "응, 아니야..."
- 매력적인 글의 비결은 바로 '첫 줄'입니다. 한 번 알고나면 너무 쉽지만, 모르는 사람은 영원히 모르는 첫 줄 쓰기 비결!
- 오호츠크 리포트가 추천하는 온라인 카피라이팅 워크숍. 아래 배너를 클릭하세요. 워크숍 자체도 재미있을 겁니다. 카피라이터의 로직을 훔쳐보세요.
|
|
|
John Mayer - My Stupid Mouth (2001)
Mama said 'think before speaking" |
|
|
editor@55check.com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9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