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8일 (금) - 예술과 기술의 충돌, 지브리 AI


#오늘의 사진
오늘 오후 미얀마, 태국에 강력한 지진 발생. 건물과 교량 파괴 다수. 방콕에서 공사중이던 고층빌딩 통째로 붕괴. (영상)
  
#경제
미국 자동차 관세 25%, 수혜자는?
트럼프의 관세 폭탄의 시범빠따는 자동차 산업(25%)이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어떤 회사들이 이익을 볼 것인지 여러 신문을 종합.

  • 이득?
    1. 테슬라는 미국 판매분을 전부 미국 안에서 생산하고 있음. 그러나 CEO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도 다칠 것이다. 중대한 영향이 있다'라며, 평소보다 겸손/조심스러운 모습. 테슬라도 일부 부품은 수입. 해외에서 역관세 맞을 수도 있음.
    2. BYD 등 중국차들은 애초에 미국에서 장사할 생각이 없으므로 상대적 이득. BYD 주가는 올해 꾸준히 올라 이미 40% up.
    3. 현대기아차는 미국 생산량이 늘고 있고 더 늘릴 예정이라 라이벌들에 비해 손해는 아님. 이제 현기차는 절반은 미국기업이라고 보면 될 듯.

  • 손해?
    • 독일 수입차들은 타격이 클 거라고. 유럽 혐오자 트럼프의 1번 공격목표이기도 했음.
    • 일본차 중에서는 마쓰다, 스바루, 미쓰비시가 일본산 의존도 높아 걱정. 토요타, 닛산 등은 현지화 많이 돼서 괜찮은 편.
    • 그런데 엉뚱하게도 포드, GM 등 미국차들도 어제 주가가 많이 빠졌음(-4%, -7%). 이 회사들도 상당량을 캐나다, 멕시코에서 부품 수입하거나 조립하기 때문.
    • 우리나라에도 불똥? 과거 대우자동차였다가 IMF때 팔린 창원, 부평 GM 공장이 이번에 구조조정당하는 거 아니냐는 불안 있음.

결론: 트럼프는 '미국 기업'을 살리려는 게 아님. 미국기업이든 외국기업이든 미국 내에 공장을 짓고 일자리를 만들면 그게 '아메리카 퍼스트'라는 것. 한국도 마찬가지. 현대든 삼성이든 외국에 공장 짓고 외국에 일자리 만드는 걸 국위선양이라고 박수쳐주거나 지원해주는 시대는 끝난 듯.

#매주 금요일_ 동동의 테크 타운
예술과 기술의 충돌, OpenAI의 이미지 생성 기능
  • OpenAI, Sora 1년만에 대폭 강화된 서비스 공개. 'ChatGPT-4o Image Generation' 서비스 공개. 
  • GPT 4o 모델 선택 후 사용 가능.
  • 다양한 스타일 합성, 맥락 이해 기반 수정·보완, 만화 제작까지 가능한 강력한 성능.
  • 샘 알트먼 "이미지 생성 기능 너무 좋지만 우리 GPU가 녹아내리고 있다 ㅠㅜ"며 사용량 3개 제한 예고.
  • 어제부터 소셜미디어 휩쓸고 있는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만들기는 저작권 침해 논란(더밀크).
  • 지브리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기술로 생성한 이미지는 "삶을 모욕하는 것" 이라고 2016년 인터뷰에서 밝힘. 그런데 누가 그 발언 장면조차도 AI로 지브리화...(위 그림)
  • 무료 서비스는 중단됐지만 저작권 문제에 대해 명확한 가이드 없어서 재개될 듯... 예술과 기술의 충돌은 계속.
  • 미국 백악관도 트럼프 스타일로 지브리 기능 사용... 
구글, 'Gemini 2.5'로 다시금 AI 최강자 자리 노린다
  • 구글, 텍스트·멀티모달 전 영역에서 1위 성능 보인 'Gemini 2.5' 공개.
  • 작년 12월 출시된 2.0 이후 업그레이드. 추론·코딩 능력에서 OpenAI o3 mini 제치고 정상 등극.
  • 크롬 브라우저에서 네트워크 연결 없을 때 하는 '공룡게임'도 AI로 단 몇 분만에 제작 (유튜브 영상).
  • 구글AI는 조용히 차곡차곡 실력 쌓는소리없이 강해지는 중. 자사 서비스에 가장 빠르게 AI 통합 진행.
  • 모든 게 좋고 뛰어나지만, 챗GPT 같은 한 방이 없어 아쉬움.
  • 하다못해 이 글 위에 올릴 사진도 마땅한 게 없음.
AI 투자 열풍, 첫 균열 보이나? CoreWeave IPO '찬바람'
  • 올 상반기 최대 IPO 대어이자 엔비디아가 점찍은 GPU 데이터센터 기업 CoreWeave 상장, 기대 미달로 시장 충격.
  • 기업 가치평가 지난해에서 230억 달러 → 350억 달러로 오르길 기대했으나 원점인 230억 달러로 냉정한 평가. 주당 40달러.(서울경제)
  • CoreWeave는 블랙웰 칩 첫 공급받은 엔비디아 파트너(지분 6% 이상). GPU 기반 데이터센터 운영 중.

  • 이번주 파이낸셜타임스 뉴스레터는 이 회사에 대해 "76억 달러 대출 조건 위반과 리스크" 경고.
    • 2년 내 10조 원을 상환해야 하는 압박.
    • 'AI의 WeWork'라 불리는 위험한 사업구조: 고객 계약 기간이 데이터센터 임대 부채 기간보다 짧음.
    • 마이크로소프트등 대형 고객사들의 철수 움직임.
  • 데이터센터가 기대만큼 필요하지 않다는 말이 되므로 AI 열풍 속 첫 균열. 거품의 전조인지 위대한 도약의 시작인지... 경고등 켜짐.
오호츠크 뉴스레터를 이 링크를 눌러 구독하세요. 이메일 주소만 넣으면 됩니다.
#엔터테인먼트
MZ 코리안의 분노
  • 한국계 미국인 Paul Kim(36)이라는 분이 지난 주 라스베가스 테슬라 서비스센터에서 최소 5대의 차량에 화염병을 던진 혐의로 어제 FBI에 체포.
  • 센터 정문에는 '저항하라(Resist)'는 문구 스프레이. 차와 아파트에선 총도 여러 정 나와.
  • 소셜미디어에선 공산주의와 팔레스타인 이슈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그가 범행에 쓰려 렌트한 차량은 현대 엘란트라. 애국심인가?
  • 보도 내용을 보면 스티브 연이 주연한 넷플릭스 드라마 'Beef(성난 사람들)'에 나오는 사촌형 캐릭터가 연상됨.
#그 밖의 읽을 거리
  • 가자지구에서 하마스 반대 시위 3일째 계속 (연합뉴스) 이젠 다들 지쳤음.

  • 러·우 휴전 기대감 커지는데… 한국정부, 우크라 재건에 미온적인 이유는 (조선비즈) - (이유 1) 파괴된 지역은 대부분 러시아가 점령 (이유 2) 우크라이나 쪽 재건사업은 유럽국가들이 침 발라놓음.

  • 친트럼프 Fox 뉴스가 대세, 대기업 광고 쏟아져 (FT - 연합뉴스) - 한국에는 '극우매체'로 알려졌지만 미국의 메인스트림으로 자리잡음. 트럼프 2기 시작 후 케이블 시청자의 70%를 점유 중이며 공짜 지상파 TV인 CBS와 NBC의 시청율도 넘어섰다고.

#퇴근송
<iframe class="embedvideo" style="display:block;position:absolute;width:100%;height:100%; background: #000;" src="https://youtu.be/J37gSCmjUP8?si=NJZa5EwHoRp1rPo_"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iframe>

지브리와 인간들 파이팅!
editor@55check.com 으로 의견을 보내주시면 뉴스레터에 게재합니다.
editor@55check.com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96
0